자료실
알루미늄 특성
알루미늄 [Aluminium, Ai]
알루미늄은 규소 다음으로 많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원소이다. 비중은 2.7이며, 공업용 금속 중 Mg 다음으로 가벼운 금속이다.
주조가 용이하고, 다른 금속과 잘 합금되어 상온 및 고온 가공이 쉽다.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강하고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잘 부식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금속 중에서는 철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징
알루미늄은 가볍고(밀도 2.70 g/cm3) 무른 금속(모스 경도 2.75)으로 전성과 연성이 좋아 박(箔)이나 선으로 쉽게 가공될 수 있다.
비교적 산화성이 커서 천연에서 원소 상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공기 중에서 단단한 산화물 보호피막을 만들기 때문에 내부까지 부식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가열하면 흰 빛을 내면서 산화되어 산화알루미늄(Al2O3)이 된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잘 부식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금속 중에서는 철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빛, 특히 열선인 적외선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 열 반사체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철의 용접에도 사용되며, 크로뮴, 망가니즈, 바나듐 등의 산화물을 환원시켜 이들 금속을 얻는 데도 사용된다.
또한 알루미늄 화합물들도 다양한 용도로 요긴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용도는 해마다 증가되어 가는중이다.
용도
항공기, 건물, 자동차 등의 구조 재료, 주방 기구, 기계 부품, 특수 화학 설비와 화학물질 저장 탱크, 가구 및 지붕 재료, 여러 전기 및 전자 기기, 전선, 주화(鑄貨), 알루미늄 박을 비롯한 여러 포장 재료, 각종 음료수 용기 등
알루미늄의 특성
구분 | 특성 | 용도 |
가볍다 | 비중이2.7로 구리Cu 8.9, 철Fe 7.9의 1/3 | 자동차, 항공기, 선박 |
표면처리 | 화학연마, 아노다이징등 다양한 표면처리 | 화장품용기, 식기, 장식품 |
반사율 | 높은반사율(85~98%), 높은적외선/자외선 반사율 | 반사판, 조명판, 난방기, 단열재 |
열전도도 | 열전도도 238W/m.k로 철의 3배수준 | 냉난방기. 열교환기 |
전기전도도 | 구리의 65% | 송전케이블 |
표면에 자연산화피막 형성 | 식품포장용기 | |
무독성 | 식품류와 화학적 반응이 없음 | 음료캔류 |
저온성 | 온도 저하시 강도상승(-200℃) | 액화천연가스 플랜트 설비 |
비자성 | 전자장의 영향의 받지 않음 | 메모리디스크, 파라볼라 안테나 |
성형성 | 우수한 성형성 | 화장품 캡, 주방용품 |
주조성 | 합금 및 주조에 용이함 | 다이캐스팅, 구조재 |
알루미늄 | |
원자번호 | 13 |
비중 | 순수 알루미늄 2,6984 철(Fe)의 비중 7.87 구리(Cu)의 비중 8.93 철/구리에 비해 약 1/3 가벼움 알루미늄 합급의 비중 AL1050-2.71 AL1100-2.71 AL3003-2.73 AL3004-2.72 AL3105-2.71 AL5005-2.70 AL5052-2.68 AL5083-2.66 AL5754-2.67 AL6061-2.70 AL6063-2.69 AL8011-2.71 ALDC12.1-2.72 |
열전도도 | 238(W/m·k,) -> 철(Fe)의3배 |
전기전도도 | 69.94% (동(Cu)의 약 60%) |
인장강도 | 49~88(N/㎟) |
연신율 | 45~35% |
경도 | 17~23(HV-경도수) |
융해점 | 660.1℃ |
끓는물 | 2520℃ |
반사율 | 85~95%(전해연마한 알루미늄, 가시광선) |
표면후처리 종류
[표면후처리 종류]
알루미늄은 우리의 실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캔커피, 캔음료에서부터 건축자재, 항공기 , 우주선기체등등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녹에 강하나 부식성을 더 강화시키기 위해 녹방지처리를 다시하게 되는데 통상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래 4가지 정도 도장이 주로 사용됩니다
아래 내용 참조하시여 많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불소도장 (PVDF)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장으로 일반적인 산업자재부터 건축자재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불소수지도장 (PVdF)란 분체도료와 성분이 유사하지만 액체 상태로 도장을 하여 넓은 범위에 균일하게 도장이 가능합니다.
불소도장의 가장 큰 특징은 저렴한 가격에 매우 우수한 품질이 보장되고 광범위한 색상을 표현할수 있다는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불소도장은 최소 20~30년까지 색상이 유지되므로 통상 건물 외장재에 사용되지만 색상이 다양하기때문에 내장재로도 사용됩니다.
색감이 다양하기 때문에 인테리어에 많이 이용되며 내구성 또한 매우 뛰어나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분체도장 (powder coating)
분체 도장은 가루 모양의 도료를 금속에 직접 부착해서 가열하고 건조시키고 굳히는
도장법입니다. 일반적인 도장에 쓰이는 유기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인체에의 영향이 작고 환경 보전이나 건강 증진에 대한 대처가 강화되 현재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 자원 절약성도 뛰어나고 자동화하기 쉽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부터 용재 도장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시장은 확대되고 있습니다.
분체도장도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수가 있어 많이 사용되며 주로 내장재에 사용됩니다.
외장재의 경우 고내식성 도장을 해야해서 가격이 많이 비싸집니다.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분체도장도 색감이 다양해 실내 인테리어 제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내구성은 도료의 종류에 따라 10~20년까지 보장됩니다

아노다이징(anodizing), 피막
금속을 양극으로 걸쳐 희석산의 액으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소재금속과 강한 밀착력을 가진 산화 피막(산화 알루미늄 Al2O3)이 형성됩니다.
양극 산화의 가장 대표적인 소재는 바로 알루미늄(Al)이며, 그 외에 Mg, Ti, Ta, Hf, Nb도 아노다이징 처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 양극 산화는 다양한 조성과 농도, 첨가제, 처리액의 온도, 전압, 전류 등에 의해서 피막의 성질을 당리해 생산할 수 있습니다.
아노다이징은 금속 본연의 색상을 잘 표현할수 있고 피막처리했을때 색상이 미려하여 가장 고급스럽게 보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노다이징을 많이 사용하지만 아노다이징도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뉘어집니다.
경질아노다이징 : 외장용 아노다이징
고내식성용으로 제작되어 피막이 상당히 두껍게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외장용으로 사용됩니다
단점은 색상을 다양하게 내기가 어렵습니다
연질아노다이징 : 내장용 아노다이징
일반적 아노다이징으로 실내용이나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금속 본연의 색상을 내기때문에 제품이 고급스럽고 미려하게 보입니다.
다양한 색상연출이 가능하지만 실외에 사용하면 색상이 변질됩니다

열전사 및 필름
내장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가장 다양한 색상을 낼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필름을 알루미늄 표면에 붙이는 것이기에 질감이 우수하고 목무늬의 경우 실제 목재와 같은 질감이 납니다.
단점은 외장재로 사용하면 필름이 일어나고 벗겨져 외관이 지져분해지므로 반듯이 내장재로 사용해야합니다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도장공급이 가능합니다
알루미늄 강도비교 6063 6N01 6061

현재 대부분의 알루미늄은 6063으로 제작됩니다.
이유는 압출성이 좋고 수요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강도때문에 6061을 찿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요자의 입장에서보면 같은 값이면 강도가 더 좋은 제품을 찿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이치인지 모르겟습니다.
하지만 생산자 입장에서 보면 6061로 생산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6061의 생산이 어려운 이유는 6061의 강도를 제대로 살리려면 T6작업 (물작업)을 해야합니다.
물작업이란 알루미늄 압출후 물에 담금질하여 강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높은 온도에서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물작업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뜨거운 금속에 물을 부으면 어떻게 될까요?
강도는 높아지지만 변형이나 표면에 고르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알루미늄 생산공정에서 물작업을 추가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어 생산력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6061-T6작업을 하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물론 수요가 많으면 생산하는 업체가 많아지겟지만 여러문제 때문에 수요 또한 많지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 유통되는 6061-T6는 중국제품이 대부분입니다.
6061의 대안으로 추천드리는 제품이 6N01입니다.
6061보다는 강도가 약하지만 6063보다 강합니다.
그나마 수요가 잇어 재료수급이 쉽고 생산성도 좋습니다.
아래 강도 비교표를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꼭 6061을 써야 한다면 6061-T5로 제작은 가능합니다.
단 물량이 많아야 합니다.
기호 | 기계적 성질 | ||
인장강도 N/㎟(kgf/㎟) | 내력 N/㎟(kgf/㎟) | 연신율 % | |
A6061 | 265(27)이상 | 245(25)이상 | 8이상 |
A6N01 | 245(25)이상 | 206(21)이상 | 8이상 |
A6063 | 157(16)이상 | 108(11)이상 | 8이상 |
[알루미늄 강도비교표]
합금 및 조질 | 인장 | 경도 | 탄성율 | 열팽창률 | 용융점 | 열전도도 | 전기전도도 | 전기저항 | ||||
Á¶Áú | 강도Mpa | 신율(%) | 브리넬 | Mpa X 10³ | 20˚C ~100˚C | ˚C | 25˚C | 20˚C MS/m | 20˚C | |||
최대 | 항복 | X 10©ø | ~100¢ªC | 부피대비 | 질량대비 | |||||||
1060-0 | 70 | 30 | 43 | S | 19 | 69 | 23.6 | 645 | 234 | 36 | 118 | 0.028 |
1060-H12 | 85 | 75 | 16 | S | 23 | 69 | ~ | S | S | S | S | |
1060-H14 | 100 | 90 | 12 | S | 26 | 69 | 655 | S | S | S | S | |
1060-H16 | 115 | 105 | 8 | S | 30 | 69 | S | S | S | S | ||
1060-H18 | 130 | 125 | 6 | S | 35 | 69 | 230 | 35 | 117 | 0.029 | ||
1100-0 | 90 | 35 | 35 | 42 | 23 | 69 | 23.6 | 640 | 222 | 34 | 113 | 0.029 |
1100-H12 | 110 | 105 | 12 | 22 | 28 | 69 | ~ | S | S | S | S | |
1100-H14 | 125 | 115 | 9 | 18 | 32 | 69 | 655 | S | S | S | S | |
1100-H16 | 145 | 140 | 6 | 15 | 38 | 69 | S | S | S | S | ||
1100-H18 | 165 | 150 | 5 | 13 | 44 | 69 | 218 | 33 | 108 | 0.03 | ||
2011-T3 | 380 | 295 | S | 13 | 95 | 70 | 22.9 | 540 | 151 | 23 | 71 | 0.043 |
2011-T8 | 405 | 310 | S | 10 | 100 | 70 | ~645 | 172 | 26 | 82 | 0.038 | |
2014-0 | 185 | 95 | S | 16 | 45 | 73 | 23 | 505 | 193 | 29 | 92 | 0.034 |
2014-T4 | 425 | 290 | S | 18 | 105 | 73 | ~ | 134 | 20 | 63 | 0.05 | |
2014-T6 | 485 | 415 | S | 11 | 135 | 73 | 635 | 155 | 23 | 74 | 0.043 | |
2017-0 | 180 | 70 | S | 20 | 45 | 73 | 23.6 | 510 | 193 | 29 | 92 | 0.034 |
2017-T4 | 425 | 275 | S | 20 | 105 | 73 | ~640 | 134 | 20 | 63 | 0.05 | |
2024-0 | 185 | 75 | 20 | 20 | 47 | 73 | 23.2 | 500 | 193 | 29 | 93 | 0.034 |
2024-T3 | 485 | 345 | 18 | S | 120 | 73 | ~ | 121 | 17 | 56 | 0.059 | |
2024-T4 | 470 | 325 | 20 | 17 | 120 | 73 | 635 | |||||
2024-T361 | 495 | 395 | 13 | S | 130 | 73 | ||||||
3003-0 | 110 | 40 | 30 | 37 | 28 | 69 | 23.2 | 640 | 193 | 29 | 92 | 0.034 |
3003-H12 | 130 | 125 | 10 | 18 | 35 | 69 | ~ | 163 | 24 | 78 | 0.042 | |
3003-H14 | 150 | 145 | 8 | 14 | 40 | 69 | 655 | 159 | 24 | 78 | 0.042 | |
3003-H16 | 175 | 170 | 5 | 12 | 47 | 69 | S | S | S | S | ||
3003-H18 | 200 | 185 | 4 | 9 | 55 | 69 | 155 | 23 | 74 | 0.043 | ||
3004-0 | 180 | 70 | 20 | 22 | 45 | 69 | 23.9 | 630 | 163 | 24 | 79 | 0.042 |
3004-H32 | 215 | 170 | 10 | 15 | 52 | 69 | ~ | |||||
3004-H34 | 240 | 200 | 9 | 10 | 63 | 69 | 655 | |||||
3004-H36 | 260 | 230 | 5 | 8 | 70 | 69 | ||||||
3004-H38 | 285 | 250 | 5 | 5 | 77 | 69 | ||||||
5005-0 | 125 | 40 | 25 | S | 28 | 69 | 23.8 | 630 | 201 | 30 | 100 | 0.033 |
5005-H12 | 140 | 130 | 10 | S | S | 69 | ~ | |||||
5005-H14 | 160 | 150 | 6 | S | S | 69 | 655 | |||||
5005-H16 | 180 | 170 | 5 | S | S | 69 | ||||||
5005-H18 | 200 | 195 | 4 | S | S | 69 | ||||||
5005-H32 | 140 | 115 | 11 | S | 36 | 69 | ||||||
5005-H34 | 160 | 140 | 8 | S | 41 | 69 | ||||||
5005-H36 | 180 | 165 | 6 | S | 46 | 69 | ||||||
5005-H38 | 200 | 185 | 5 | S | 51 | 69 | ||||||
5052-0 | 195 | 90 | 25 | 27 | 47 | 70 | 23.8 | 605 | 138 | 20 | 67 | 0.05 |
5052-H32 | 230 | 195 | 12 | 16 | 60 | 70 | ~ | |||||
5052-H34 | 260 | 215 | 10 | 12 | 68 | 70 | 650 | |||||
5052-H36 | 275 | 240 | 8 | 9 | 73 | 70 | ||||||
5052-H38 | 290 | 255 | 7 | 7 | 77 | 70 | ||||||
5083-0 | 290 | 145 | S | 20 | S | 71 | 23.8 | 580 | 117 | 17 | 57 | 0.059 |
5083-H321 | 315 | 230 | S | 14 | S | 71 | ~ | S | S | S | S | |
5083-H116 | 640 | S | S | S | S | |||||||
6061-0 | 125 | 55 | 25 | 27 | 30 | 69 | 23.6 | 580 | 180 | 27 | 90 | 0.037 |
6061-T4 | 240 | 145 | 22 | 22 | 65 | 69 | ~ | 155 | 23 | 77 | 0.043 | |
6061-T651 | 310 | 275 | 12 | 15 | 95 | 69 | 650 | 167 | 25 | 82 | 0.04 | |
6063-0 | 90 | 50 | S | S | 25 | 69 | 23.4 | 615 | 218 | 32 | 111 | 0.029 |
6063-T1 | 150 | 90 | 20 | S | 42 | 69 | ~ | 193 | 29 | 96 | 0.034 | |
6063-T4 | 170 | 90 | 22 | S | S | 69 | 655 | S | S | S | S | |
6063-T5 | 185 | 145 | 12 | S | 60 | 69 | 209 | 32 | 105 | 0.031 | ||
6063-T6 | 240 | 215 | 12 | S | 73 | 69 | 201 | 31 | 102 | 0.032 | ||
6063-T83 | 255 | 240 | 9 | S | 82 | 69 | 201 | 31 | 102 | 0.032 | ||
6063-T831 | 205 | 185 | 10 | S | 70 | 69 | S | S | S | S | ||
6063-T832 | 290 | 270 | 12 | S | 95 | 69 | S | S | S | S | ||
7050-T73510 | 495 | 435 | S | 11 | S | 72 | 24.1 | 490 | S | S | S | S |
7050T7451 | 525 | 470 | S | 10 | S | 72 | ~ | 157 | 24 | 78 | 0.042 | |
7050T7651 | 550 | 490 | S | 10 | S | 72 | 630 | S | S | S | S | |
7075-0 | 230 | 105 | 17 | 14 | 60 | 72 | 23.6 | 475 | S | S | S | S |
7075-T651 | 570 | 505 | 11 | 9 | 150 | 72 | ~635 | 130 | 19 | 61 | 0.053 |
[알루미늄 강도비교]
기호 | 기계적 성질 | ||
인장강도 N/㎟(kgf/㎟) | 내력 N/㎟(kgf/㎟) | 연신율 % | |
A1100 | 74(7.5)이상 | 20(2.0)이상 | - |
A1200 | |||
A2014 | 471(48)이상 | 412(42)이상 | 7이상 |
A2017 | 343(35)이상 | 216(22)이상 | 12이상 |
A2024 | 481(49)이상 | 363(37)이상 | 10이상 |
A3003 | 94(9.5)이상 | 34(3.5)이상 | - |
A3203 | |||
A5052 | 177(18)이상 | 69(7.0)이상 | - |
A5454 | 261(22)이상 | 84(8.5)이상 | 12이상 |
A5083 | 275(28)이상 (L-275 MPa) | 108(11)이상 | 12이상 |
A5086 | 240(24.5)이상 | 93(9.5)이상 | 12이상 |
A6061 | 265(27)이상 | 245(25)이상 | 8이상 |
A6N01 | 245(25)이상 | 206(21)이상 | 8이상 |
A6063 | 157(16)이상 | 108(11)이상 | 8이상 |
A7003 | 284(29)이상 | 245(25)이상 | 10이상 |
A7N01 | 333(34)이상 | 278(28)이상 | 10이상 |
A7075 | 539(55)이상 | 481(49)이상 | 7이상 |
[알루미늄 화학 성분비교]
기호 | 화학성분 | ||||||
Si | Fe | Cu | Mn | Mg | Cr | Zn | |
A1100 | Si+Fe 1.0이하 | 0.05~0.20 | 0.05이하 | - | - | 0.10이하 | |
A1200 | Si+Fe 1.0이하 | 0.05이하 | 0.05이하 | - | - | 0.10이하 | |
A2014 | 0.50~1.2 | 0.7이하 | 3.9~5.0 | 0.40~1.2 | 0.20~0.8 | 0.10이하 | 0.25이하 |
A2017 | 0.20~0.8 | 0.7이하 | 3.5~4.5 | 0.40~1.0 | 0.40~0.8 | 0.10이하 | 0.25이하 |
A2024 | 0.50이하 | 0.50이하 | 3.8~4.9 | 0.30~0.9 | 1.2~1.8 | 0.10이하 | 0.25이하 |
A3003 | 0.6이하 | 0.7이하 | 0.05~0.02 | 1.0~1.5 | - | - | 0.10이하 |
A3203 | 0.6이하 | 0.7이하 | 0.05이하 | 1.0~1.5 | - | - | 0.10이하 |
A5052 | 0.25이하 | 0.40이하 | 0.10이하 | 0.10이하 | 2.2~2.8 | 0.15~0.35 | 0.10이하 |
A5454 | 0.25이하 | 0.40이하 | 0.10이하 | 0.50~1.0 | 2.4~3.0 | 0.05~0.20 | 0.25이하 |
A5083 | 0.40이하 | 0.40이하 | 0.10이하 | 0.40~1.0 | 4.0~4.9 | 0.05~0.25 | 0.25이하 |
A5086 | 0.40이하 | 0.50이하 | 0.10이하 | 0.20~0.7 | 3.5~4.5 | 0.05~0.25 | 0.25이하 |
A6061 | 0.40~0.8 | 0.7이하 | 0.15~0.40 | 0.15이하 | 0.8~1.2 | 0.04~0.35 | 0.25이하 |
A6N01 | 0.40~0.9 | 0.35이하 | 0.35이하 | 0.50이하 | 0.40~0.8 | 0.30이하 | 0.25이하 |
A6063 | 0.20~0.6 | 0.35이하 | 0.10이하 | 0.10이하 | 0.45~0.9 | 0.10이하 | 0.10이하 |
A7003 | 0.30이하 | 0.35이하 | 0.20이하 | 0.30이하 | 0.50~1.0 | 0.20이하 | 5.0~6.5 |
A7N01 | 0.30이하 | 0.35이하 | 0.20이하 | 0.20~0.7 | 1.0~2.0 | 0.30이하 | 4.0~5.0 |
A7075 | 0.40이하 | 0.50이하 | 1.2~2.0 | 0.30이하 | 2.1~2.9 | 0.18~0.28 | 5.1~6.1 |
[알루미늄 화학 성분비교]
열처리 구분 | 번호계열 | 합금계열 | 특징 | 용도 |
열처리합금 | 2000 | Al-Cu계 | ->두랄루민(Duralumin)이라는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짐 ->자연시효로 강도가 얻어지는 2017은 두랄루민 ->2017보다 자연시효성을 향상시킨2024는 슈퍼두랄루민이라 불림. ->강도가 높고 2017은 연신율도 높은 편임. | ->항공기 구조재료 ->단조부품, 절삭소재 ->VTR 부품, 차량구조재 |
6000 | Al-Mg-Si계 | -내식성이 좋고 알루미늄 샤시등으로 사용되는 6063이 대표적임 - 6063은 압출성,양극산화성이 뛰어나 샤시,산업용소재등으로 널리 쓰임. -6061은 6063보다 고강도를 얻기 위해 사용. -6061은 압출성이 떨어져, 6063보다 고강도를 얻기 위해 6N01도 많이 쓰임. -열처리는 T5(대기중 냉각후 열처리),T6(물로 냉각하는 용체화처리 후 열처리) | ->알루미늄 건축재 ->산업용 소재 ->방열판 ->주방가구 부품 ->클린룸 및 자동화시설 | |
7000 | Al-Zu-Mg계 | ->열간가공성과 내식성이 양호한 용접구조용재 (Al-Zn-Mg계) ->고강도를 필요로 하는 고력합금재 (Al-Zn-Mg-Cu계) ->항공기용 재료로 개발된 7075는 슈퍼두랄루민이라 불림. | ->용접구조재 ->항공기,차량 구조재료 ->스포츠용품 (Ski Stick, Golf Shaft등) | |
비열처리금속 | 1000 | 순알루미늄계 | ->1000계열은 네자리중 10자리 숫자가 클수록 순도가 높은것임. ->열이나 전기의 양도체로 사용됨 | ->전해콘덴서,인쇄판,FOIL ->건축용판넬,반사판등 |
3000 | Al- Mn계 | ->가공성이 좋고 1100보다 강도가 뛰어나 미국에서는 1100보다 많이 사용됨. ->3003은 특히 Deep Drawing 가공성이 양호하다. | ->알루미늄 CAN,전구 CASE ->건축자재,저온용 | |
비열처리금속 | 4000 | AL-Si계 | ->용가재, Brazing재로써 사용되는 합금 ->자연발색 합금으로 건축용 석판 및 알출형재에도 사용됨. | ->Brazing Sheet의 피재 ->용가재 |
5000 | Al-Mg계 | ->내식성이 양호하여 열처리에 의하지 않고 가공경화로 일정 강도가 얻어짐. ->용접성이 뛰어남. | ->성형가공용 재료 ->용접구조용 합금 |
제품공정도
가공 공정도

피막 공정도

압출 공정도
